【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 ‘감정노동자 보호’와 산업안전보건법의 연결고리– 고객 응대업무, 콜센터 등에서 적용되는 산업안전보건법 항목 정리
“항의 전화가 하루에 수십 통이에요. 욕설도 듣고, 협박도 받아요.”“전화 끊고 나면 손이 떨려요. 이게 직업병이 아닌가요?”이러한 말들은 고객응대업무 종사자, 이른바 감정노동자들에게 흔히 들을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기업 이미지와 고객 만족을 위해 감정을 억누르고 웃는 얼굴을 유지해야 하는 노동자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의 이면에는 스트레스성 질병, 자존감 저하, 심하면 정신질환까지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존재합니다.이제 감정노동은 단순한 서비스 문제가 아니라, 명백한 산업재해 예방의 대상이며, 그 보호 의무는 사업주에게 있습니다. 2018년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면서, 감정노동자 보호에 관한 명확한 법적 의무가 신설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감정노동자 보호와 산업안전보건법의 연계 지점, 적용 대상,..
2025. 4. 12.
【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 ‘명확하지 않은 법 조항’이 기업에 미치는 실제 영향– ‘적정성 판단’, ‘충분한 조치’ 등 애매한 표현들이 왜 문제인지, 어떻게 해석할지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을 포함한 안전보건 관련 법령을 살펴보면, 매우 구체적인 수치나 절차가 정해진 조항도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적정하게”, “충분히”, “필요한 조치”, “합리적인 관리” 등 불명확한 기준을 내포한 표현들도 많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기업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측면도 있지만, 반대로 해석의 여지로 인해 행정처분이나 형사처벌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합니다.이 글에서는 이러한 ‘애매한 법 표현’이 실제로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지, 그리고 실무에서는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오늘은 제가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하여 중소기업에서 알아야 하고, 중요하게 챙겨봐야 할 안전관리에 대한 글을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법령 속 ‘모호한 문구’는 어떻게 ..
2025. 4. 11.